과제

5주차

werty2 2025. 5. 11. 02:26

What i did

1. Flask 실습

2. Github 사용

 

What I learn

1. Flask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Python API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low level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장점으로는 처음 배우기 쉽고 코드가 짧아 가볍고 단순하다는 점, 정해진 틀이 없어 자유롭다는 점, 장고에 비해 내장기능이 많이 없다는 점, 숙련자에게는 확장 모듈을 지원해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쉬운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등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장점은 구조가 단순해 초보자도 쉽게 학습하고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는 점인 것 같다.

 

Flask 실습

나는 이미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어서 설치 과정은 건너 뛰었다. 

cmd 창에서 pip install flask를 입력해 flask를 설치해준 후, python -m venv venv 를 입력해 프로젝트마다 다른 버전의 라이브버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이썬 가상 환경을 만든다. 

다음으로 venv\Scripts\activate를 입력해서 window에서 가상환경을 활성화 시킨다. 이 명령어를 통해 가상환경 안으로 들어가 그 안에 설치된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성공적으로 활성화가 되었으면 앞에 (venv) 라는 문구가 뜬다.

버전을 출력하는 코드를 입력하면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파이썬에 들어와서 다음과 같이 입력해준다. flask를 통해 5003번 포트로 지정한 문구를 출력하도록 한다. @app.route("/")는 특정 URL 경로에 어떤 함수를 실행할지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코드를 실행하고 http://127.0.0.1:5003/ 를 아무 웹브라우저로 실행해보면 다음과 같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27.0.0.1은 내 컴퓨터, :5003은 포트 번호, 마지막의 /은 기본 루트 경로로 위에서 @app.route("/") 로 입력한 경로를 의미한다.

2. git은 형상 관리 도구 중 하나로,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을 사용하는 이유로는 실수나 오류가 생겼을 때 복원이 가능하고, 협업에 유리하며, 누가 언제 무엇을 수정했는지 모두 기록된다는 점 등이 있다.

 

실습

먼저 git 에 회원가입을 해주고 create repository를 통해 repository를 만든다.

 

git bash 에서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해준 뒤 확인한다.

 

폴더를 생성한 후, 그 폴더에서 git bash 를 열어 들어간 후 git init 명령어를 통해 로컬 git 저장소를 생성해 해당 폴더에서 git을 사용할 준비를 완료시킨다.

그 다음 git remote add origin 를 통해 github repository와 내 로컬 프로젝트를 연결한다. origin 뒤의 주소는 위에서 만든 repository의 주소이다.

두 번째 사진에서는 git clone 명령어를 통하여 원격 git 저장소를 로컬로 복제해 github 에 있는 원격 저장소의 파일이 내 컴퓨터로 그대로 복사된다. 여기에서는 아까 만든 클론 repository가 아무 내용이 없이 비어있어서 빈 상태로 내려받게 되기 때문에 경고가 발생했다.

 

 

Weekly Challenge

Fork 버튼을 눌러 fork를 생성하면 두 번째 사진과 같이 repository로 복사된다.

 

복사 후 위에서 했던 것처럼 git remote add origin 와 git clone 명령어를 통해 원격 git 저장소의 파일을 로컬에 복사해준다.

 

복사한 파일를 로컬에서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해 수정해준다. 아래의 사진에서는 라우트를 추가해 새로운 url에서 실행할 새로운 함수를 만들었다.

 

다 수정했으면 왼쪽 사진과 같이 위에서 commit 명령어를 이용해 내가 수정한 내용을 저장소에 설명과 함께 기록한다.  

그 후 오른쪽 사진과 같이 git remote add origin 명령어를 통해 내 컴퓨터에 있는 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하고, git branch -M main 를 이용해 현재 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바꾼 후, git push origin main 명령어로  내 컴퓨터에서 만든 main 브랜치의 내용을 gitHub에 연결된 원격 저장소의 main 브랜치로 업로드(push) 한다. 그러면 fork한 repository의 내용이 수정된다.

 

그 후 Github에서 fork한 repository에 들어가서 pull request 버튼을 눌러주면 내가 수정한 내용을 반영하는 것을 요청한다.

 

Issues

그냥 내 repository 에서 코드가 바로 수정되길래 commit 과 같은 명령어를 왜 쓰는 줄 모르고 그냥 바로 pull request를 누를 뻔 했다. 알고 나서 수정된 파일을 다시 수정 전으로 돌리려하니까 그 때는 이상하게 편집이 다시 되지 않아서 수정된 채로 로컬에 복사를 하고 수정을 안하고 commit 과 push 명령어를 뒤늦게 사용하니 업로드 시도는 되지만 업로드할 변경사항이 없다는 내용이 계속 떴다.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0) 2025.04.10
3주차  (0) 2025.04.06
2주차  (0) 2025.03.31
1주차  (0) 2025.03.24